심리학

아동발달 심리학 #7.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Piaget)

멈무즈 2023. 2. 18. 13:30
반응형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정신분석 이론이 아동의 무의식적인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면, 인지발달 이론은 아동의 의식적인 사고를 강조한다. 인지발달 이론에서는 정신 구조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 점에서는 정신분석 이론과 별 차이가 없으나 인지발달 이론은 무의식적인 사고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 대신에 합리적인 사고 과정을 강조한다.

-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피아제는 인지발달 이론에서는 도식, 적응, 동화, 조절, 그리고 평형의 개념을 이야기한다.

도식은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이다. 빨기나 잡기 같은 최초의 도식들은 본질상 반사적이다. 그러나 이들 반사적 행동조차도 환경의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빨기는 유아가 자라 숟가락을 사용하게 되면 형태상 변화한다. 여기서 빨기는 구조상 변화했지만 수행하는 기능 면에서는 변한 것이 아니다. 유아는 많은 도식을 지니고 태어나며, 적응의 과정을 통해서 새로운 도식을 개발하고 기존의 것들을 진화시킨다.
적응은 환경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도식이 변화하는 과정이다. 홍관조 수컷은 선명한 붉은 색인 반면, 암컷을 눈에 잘 띄지 않도록 엷은 갈색조를 띄어 종의 생존에 대한 위협을 줄인다. 적응은 동화와 조절이라는 두 가지 수단을 통해 진행된다.
동화는 새로운 환경 자극에 반응함으로써 기존의 도식을 사용해 새로운 자극을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유아가 음식이든 아니든 무엇이나 입으로 가져가는 것은 동화의 한 예이다.
조절은 기존의 도식으로는 새로운 사물을 이해할 수 없을 때, 기존의 도식을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아동이 조절을 할 때에는 도식의 형태에 질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아동이 사자를 보고 고양이라고 말할 때, 아니야 그것은 사자란다라고 말해줌으로써 잘못을 바로잡을 수 있다. 이때 아동은 사자라고 불리는 새로운 도식을 형성하게 된다.
끝으로 평형은 동화와 조절의 균형을 의미한다. 여기서 동화, 조절, 평형이 어떻게 적용하는지 예를 들어보자, 5세가 된 아동에게 하늘에 날아다니는 물체는 새라고 했을 때, 아동은 하늘에 날아다니는 어떤 물체든 새라는 것에 자기 생각을 동화시킨다. 그런데 어느 날 아이는 하늘에 날아가는 비행기를 보게 된다. 이 새로운 사물을 보고 아이는 그가 가진 기존 개념인 새에 결부시키려고 하나 모양이나 크기가 너무 다른 것을 보고 이 아이는 기존의 체계를 변경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 과정이 조절이다. 아이는 이제 불평 형 상태에 놓이게 된다.
즉, 이 새로운 물체가 새인지 아닌지 만약 새가 아니라면 도대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그래서 어머니에게 저 물체가 무엇인지를 물어본 결과 그것은 새가 아니라 비행기라는 답을 듣게 되고, 아이는 새와 비행기의 차이를 알게 되는데, 이것이 평형의 상태이다.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피아제는 인지발달에는 4단계가 있으며, 질적으로 다른 이 단계 드리는 정해진 순서대로 진행도기도 단계가 높아질수록 복잡성이 증가한다고 했다.
인지발달의 첫 번째는 감각운동기로, 신생아의 단순 반사들이 출생에서 시작해서 초기 유아적 언어가 나타나는 상징적 사고가 시작되는 2세에 끝난다. 피아제는 이 단계에서 독립적이지만 상호 관련된 6개의 하위단계를 제시한다. 아동의 행동은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이때 자극은 감각이고 반응은 운동이다. 그래서 이 단계를 감각 운동기라고 부른다.

두 번째 단계는 전조작기로서 2세에서 7세까지이다. 이때 아동의 언어가 급격히 발달하고 상징적으로 사고하는 능력도 향상한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는 논리적인 조작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전조작기라 부른다. 조작이란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들을 내면화시켜 서로 관련지을 수 있는, 즉 논리적인 관계를 지을 수 있는 것을 뜻한다. 전조작기 사고의 특징은 상징 놀이, 자기중심적 사고, 물활론, 직관적 사고 등을 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구체적 조작기로 7세에서 12세까지였기에 해당한다. 이 단계에서 아동은 보존개념의 획득 유목 포함, 분류화, 서열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단계는 형식적 조작기로서 청년기가 이 단계에 해당한다. 형식적 조각기의 특징은 첫째,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현재의 경험뿐만 아니라 과거와 미래의 경험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둘째, 체계적인 과학적 사고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셋째, 추장 시적인 사고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은 눈에 보이는 구체적 사실들에 대해서 사고가 가능하지만, 형식적 조작기의 청년은 추상적인 개념도 이해할 수 있다. 넷째, 이상적 사고를 한다는 것이다. 청년들은 이상적인 특성, 즉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이상적이었으면 하고 바라는 특성들에 대해 사고하기 시작한다.


반응형

글 스터이작